전기 특성
빅데이터 처리나 고속 통신을 위해 전자기기와 통신기기에서는 고주파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. 이 때문에 플라스틱 소재에도 주파수 대응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.
DAIKIN은 불소 특유의 전기 특성을 활용하여 고객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폭넓은 Solution을 제안합니다.
개요
불소수지의 전기 특성
불소수지는 대조적인 분자 구조((-C2F4-)n)로 탄소와 불소 간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저유전 특성과 저유전 손실 등의 전기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.
저유전 특성의 응용
불소수지는 전기적으로 안정적이고 고주파에 영향을 잘 주지 않는다는 특성이 있습니다. POLYFLON PTFE, NEOFLON PFA 등의 불소수지는 모든 플라스틱에 대해 낮은 유전율을 나타냅니다. 이 때문에 절연재료, 동축케이블, 프린트 기판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.
고유전 특성의 응용
DAIKIN은 퍼플루오로계 불소수지와 다른 고유전율의 비닐리덴계 불소수지(NEOFLON VT-6630)를 개발했습니다. 종래의 고유전 수지를 대폭 상회하는 비유전율이 장점입니다. 예를 들어 콘덴서용 필름에 응용함으로써 대폭적인 소형화가 기대되고 있습니다.
DAIKIN의 Solution
제품 | 물성 | 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고주파 | 저주파 | |||||
유전율 | 유전 정접 | 유전율 | 유전 정접 |
체적 저항율 (Ω/cm) |
||
불소수지 |
PTFE | 2.1 | 2×10-4 | 2.1 | <1×10-5 | >1018 |
PFA, FEP | 2.1 | 3~4×10-4 | 2.1 | <2×10-5 | >1018 | |
ETFE, EFEP CPT, PCTFE |
2.3~2.8 | 5×10-3~0.16 | 2.3~2.8 | 8×10-4~0.027 | >1016(*) | |
불소고무, 고무계 불소수지 도료 첨가제(DAIKIN PPA) |
6~8 (60Hz) | - | - | - | 1012~14 | |
내후성 도료용 수지 ZEFFLE* | 2.6~2.8 | 1×10-2 | - | - | >1016 |
* ZEFFLE은 경화제를 배합한 도막의 측정값임. 상기 수치는 대표값이며 보증값은 아닙니다.